청년도약계좌는 정부가 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만든 정책형 금융상품으로, 매달 저축만 해도 정부 기여금과 고금리 혜택을 함께 받을 수 있는 매우 유리한 제도입니다. 특히 2025년 7월 신청기간이 임박한 지금, 가입을 고려하고 있는 분들이라면 이번 시간에 알려드릴 청년도약계좌 조건 금액 가입조건 신청기간 방법을 통해 청년도약계좌 조건, 신청 방법, 신청 기간, 이자 혜택까지 한 번에 확인해보세요.
7월 청년도약계좌 조건 신청방법 이자 혜택
청년도약계좌란 무엇인가요?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부터 34세 이하의 청년이 최대 5년간(60개월) 매달 10만 원에서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적금을 납입할 수 있도록 설계된 자유적립식 적금 상품입니다. 이 계좌의 가장 큰 장점은 단순히 이자만 받는 것이 아니라, 정부가 추가로 매달 일정 금액을 기여금 형태로 지원한다는 점입니다. 여기에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까지 부여되어, 시중은행의 일반 적금보다 훨씬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일부 저소득 청년의 경우 최대 연 9.5% 수준의 실질 수익률을 체감할 수 있는 만큼, 현재 청년층 사이에서 가장 주목받는 자산형성 수단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조건 (2025년 기준)
청년도약계좌는 혜택이 큰 만큼 누구나 가입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다음 네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만 신청이 가능합니다.
1. 나이 조건
신청일 기준 만 19세부터 34세 이하의 청년이어야 합니다. 단, 군 복무를 이행한 경우 복무 기간만큼 연령 조건이 연장되어 최대 만 40세까지 가입이 가능합니다. 여성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병역기간을 연장받을 수 있습니다.
2. 개인 소득 조건
전년도 근로소득 기준 총급여액이 7,500만원 이하여야 하며, 종합소득자의 경우 과세표준 6,300만 원 이하가 조건입니다. 단순한 예·적금만 보유하고 있는 청년도, 소득이 없다면 가입이 불가능하며 육아휴직급여나 군 장병급여만 있는 경우에는 해당 소득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3. 가구 소득 조건
가구 소득은 기준중위소득 250% 이하여야 합니다. 이는 세대 내 건강보험료 합산 금액으로 산정되며, 주민등록등본상 동일 세대 기준입니다. 예를 들어 1인 가구 기준으로는 월 598만 원 이하라면 가입이 가능하고, 4인 가구는 월 1,524만 원 이하까지 허용됩니다.
가구원 수 | 기준중위소득 250% (2025년) |
1인 | 5,980,032원 |
2인 | 9,832,645원 |
3인 | 12,563,383원 |
4인 | 15,244,433원 |
4. 금융소득 조건
직전 3개 과세연도 중 단 한 번이라도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된 이력이 있다면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이는 연간 이자 및 배당소득 합계가 2천만 원 이상인 경우를 말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및 절차
2025년 7월 신청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신청 기간: 2025년 7월 1일(화) ~ 7월 11일(금)
- 계좌 개설 가능일: 2025년 7월 17일(목) ~ 8월 8일(금)
가입은 해당 기간 내에만 가능하며, 신청 이후 자격 심사까지 약 1~2주가 소요됩니다. 신청 시점에 따라 계좌 개설일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신청 초기에 빠르게 접수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비대면 가능)
청년도약계좌는 전 과정이 모바일 비대면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누구나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 가능한 주요 은행 앱
- 국민은행
- 신한은행
- 하나은행
- 우리은행
- 농협
- 기업은행
- 부산/경남/광주/전북/대구은행
- 카카오뱅크, 토스뱅크 (일부 참여)
신청 절차 요약
- 앱 실행 후 '청년도약계좌' 검색
- 신청 버튼 클릭 후 신분증, 소득자료 제출
- 서민금융진흥원을 통한 자격 심사
- 심사 통과 후 계좌 개설 가능 알림 수신
- 은행 앱에서 계좌개설 및 첫 납입
은행마다 우대금리가 다르므로 반드시 여러 은행의 조건을 비교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이자 및 정부 기여금 혜택
이자 혜택
청년도약계좌는 은행 기본금리에 정부 기여금이 더해지는 구조입니다.
- 기본 고정금리 3년간 4.5%
- 이후 변동금리 전환
- 은행 우대금리 포함 시 최대 6%까지 가능
- 이자소득 전액 비과세
정부 기여금 (월 최대 3.3만 원)
기여금은 50만 원 납입분에 우선 적용, 초과분은 3% 정률 적용되며, 월 70만 원을 5년간 꾸준히 납입하면, 원금 4,200만 원 + 기여금·이자 800~850만 원으로 최대 5,000만 원 이상 수령 가능합니다.
연 소득 구간 | 월 정부기여금 |
2,400만 원 이하 | 33,000원 |
~3,600만 원 이하 | 29,000원 |
~4,800만 원 이하 | 25,000원 |
~6,000만 원 이하 | 21,000원 |
중도해지, 부분 인출 시 유의사항
청년도약계좌는 중도 해지를 하더라도 일정 요건을 만족하면 정부 기여금 일부 또는 전부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 3년 이상 유지 후 해지: 정부기여금의 60% 수령 가능
- 2년 이상 유지 시: 납입원금의 40%까지 부분 인출 가능
- 혼인, 출산, 생애 첫 주택 구매 등 특별 사유 시: 정부기여금 100% 유지
- 2년 이상, 800만 원 이상 납입 시: 신용점수 최대 10점 가산
청년도약계좌, 누구에게 유리한가?
청년도약계좌는 단순 적금이 아닙니다. 정부의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 높은 고정금리까지 결합된 청년 자산형성의 최적의 혜택입니다. 사회 초년생으로 자산을 모으고 싶은 청년, 매달 70만 원까지 여유 납입이 가능한 분, 5년간 장기 플랜으로 목돈을 마련하고 싶은 분, 정부 혜택을 최대한 활용하고 싶은 분들에게 특히 추천드리며, 2025년 7월 1일부터 11일까지 놓치지 말고 신청하세요!
'뚜벅뚜벅 재테크 > 마음대로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비 패턴별 가성비 좋은 신용카드 추천 (31) | 2024.11.09 |
---|---|
1억 만들기! 주식 리딩 청개구리투자클럽 무료 체험 신청 (0) | 2023.08.03 |
댓글